자동차 취등록세 계산법

Posted by drinker
2019. 9. 4. 22:36 생활 정보
반응형


자동차는 금액이 높은 재산 항목 중 하나이기 때문에 구매를 위해서는 오랜 기간 돈을 모으고 예산에 맞는 자동차를 찾아야 합니다. 특히나 처음으로 차를 구매하시는 분이라면 정해진 금액에 딱 맞춰 신차와 중고차 등 다양한 차량을 살펴보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세금을 고려하지 않아서 예산이 초과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자동차를 구매할 때에는 자동차 취득세를 비롯한 세금도 적지 않기 때문에 미리 이를 고려하여 구매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법

자동차는 한 번 구매하면 구매비도 많이 들지만 구입과 동시에 부과되는 세금과 유지비 등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이 많습니다. 특히나 자동차 구입시에는 개별소비세와 교육세, 부가가치세 등 3가지의 세금을 납부해야 하는데 자동차 출고가에 이 세가지 세금의 총합을 더하면 실질적인 자동차의 구매금액이 됩니다. 이후 자동차 등록시에 취등록세라고 불리는 취득세를 납부해야 하는데 이는 차종이나 용도에 따라 요율이 다르므로 별도로 관련 내용을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동차 취득세는 신차와 중고차에 동일하게 부과되지만 산정 기준은 다른데 신차의 경우 차량 구매가격이 중심이 되며 중고차는 국가에서 설정하는 차량기준가액이 중심이 됩니다. 신차 기준에서 자동차 취득세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자동차365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365 홈페이지는 아래 바로가기나 검색포털의 검색을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 자동차365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car365.go.kr/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365 홈페이지에서는 자동차 온라인 등록 및 발급과 자동차 이력조회, 검사안내, 폐차안내 등의 자동차 관련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을 하시기 위해서는 스크롤을 내리신 이후 퀵메뉴에서 ‘자동차 등록비용 조회’ 버튼을 클릭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신차 등록비용 계산기에서는 필요 항목에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신 후 간편하게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방법으로 계산을 하실 수 있습니다. 상단의 물음표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도움말을 보실 수 있는데 이용 전 간단하게 해당 내용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신차 등록비용 계산기에서 차량가격과 거주지역, 용도구분에 따른 정보를 클릭하신 후 ‘계산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자동차 취등록세를 손쉽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하셔서 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정보를 입력하신 후 계산하기를 하셨다면 아래와 같이 자동차 취득세가 계산되어 나오게 됩니다. 금액이 적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 구매가 처음이신 분들은 조금 놀라실 수도 있을 텐데 자동차 구매 계획이 있으시다면 반드시 자동차 취등록세를 미리 예산에 포함해 두셔야 할 것입니다. 



중고차를 구매하실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을 하시면 되는데 중고차는 차량가격에 구매가격이 아닌 차량기준가액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이 때 차량기준가액과 매매가격 중 높은 가격을 입력하시면 되는데 차량 취득가액은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선 아래 바로가기나 검색포털 검색을 통해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로 접속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ometax.go.kr/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셨다면 ‘조회/발급’을 클릭하여 해당 페이지로 이동하신 후 보라색 박스의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항목에서 ‘승용차 가액조회’를 클릭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승용차 가액조회 페이지로 이동하셨다면 상단에 간단한 이용안내가 나와 있습니다. 이용안내를 확인해 보신 후 자동차명을 입력하신 후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차량 취득가액을 간단히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 취득세가 부담스러우실 경우 경차나 다자녀 가정, 친환경 차량 등에 대한 감면 혜택이 있으므로 해당되시는 내역이 있으신 경우 확인을 해보시기를 바라며 이상 자동차 취등록세 계산법 관련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